이번 여름 눈에 띄게 오른 전기요금, 혹시 누진세 구조 때문인지 궁금하셨나요? 가정용 전기요금은 사용량이 늘어날수록 kWh당 요금이 오르는 ‘누진세 방식’으로 계산됩니다.
아래에서 누진 구간과 단가, 요금 계산법, 그리고 여름철 한시적 누진 완화 제도까지 친절하게 설명드릴게요.
1. 가정용 전기 누진세란
가정용 전기요금은 사용량에 따라 구간을 나눠 kWh당 단가를 달리하는 구조예요. 사용량이 많아질수록 단가가 높아지는 ‘3단계 누진제’로 구성되어, 전기를 오래 켤수록 요금 부담이 급격히 커질 수 있습니다.
2. 여름철 누진 구간과 단가
현재 여름철 기준으로 가정용 전기 누진 구간과 kWh당 단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단계는 월 기본요금 910원, 사용량 300kWh 이하, kWh당 120원으로 가장 저렴한 요금입니다. 2단계는 기본요금 1,600원, 300kWh 초과 ~ 450kWh 이하, kWh당 214.6원으로 요금이 크게 뛰며, 체감 차이가 상당합니다. 3단계는 기본요금 7,300원, 450kWh 초과 구간, kWh당 307.3원으로 가장 높은 요금을 적용받습니다.
이처럼 동일 사용량이라도 어느 구간에 해당하느냐에 따라 요금이 크게 차이 납니다.
3. 누진세 한시적 완화 제도
폭염으로 전기 사용량이 많아지는 7월과 8월, 정부는 누진 구간을 일시적으로 완화해 가정의 요금 부담을 줄였습니다.
기존 1단계 상한선인 200kWh → 300kWh로, 2단계 상한선은 400kWh → 450kWh로 상향 조정한 건데요, 이에 따라 실제 한여름 예를 들어 월 406kWh를 사용한 4인 가구는 전기요금이 약 18,000원가량 줄어들 수 있습니다. 이 조치는 해당 기간에만 적용되는 한시적 대책이니 꼭 참고하세요.
4. kWh당 단가
누진 구조에 따라 kWh당 단가 차이가 매우 크기 때문에, 전기 사용 패턴에 따라 요금이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에어컨을 장시간 사용하거나 여름에 전기 사용이 많았다면 2단계나 3단계에 자주 걸릴 수 있어 요금 폭탄을 맞을 수 있어요.
따라서 사용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고효율 가전기기 사용을 늘려야 요금 절감에 효과적입니다.
5. 여름철 전기요금 절약팁
여름철은 에어컨과 선풍기 사용이 많아지면서 전기 사용량이 급격히 늘어나는 시기입니다. 조금만 신경 쓰면 누진세 구간 진입을 늦추고 요금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첫째, 에어컨은 적정 온도 설정이 중요합니다. 권장 실내 온도인 26도~28도에 맞추고, 선풍기나 서큘레이터를 함께 사용하면 시원함은 유지하면서 전력 소모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에어컨을 켜자마자 최저온도로 낮추는 습관은 전력 소모를 늘리는 주범입니다.
둘째, 가전제품 대기전력 차단을 생활화하세요. TV, 전자레인지, 컴퓨터 등은 전원만 꺼도 대기전력이 계속 소비되므로, 멀티탭을 이용해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전원을 완전히 차단하는 것이 좋습니다.
셋째, 냉장고와 세탁기 사용 습관을 개선해 보세요. 냉장고는 문을 자주 열지 않고 내부 공간을 70% 정도만 채우는 것이 효율적이며, 세탁기는 저녁 시간대에 모아서 사용하면 전력 피크 시간대 사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넷째, 전력 피크 시간대(오후 2시~5시) 사용을 줄이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전력 사용량이 몰리는 시간에 동시에 에어컨, 세탁기, 전자레인지를 돌리면 누진구간에 빨리 진입할 수 있어요. 가급적 아침이나 저녁 시간에 분산해 사용하면 요금 절감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다섯째, 고효율 가전제품 활용도 장기적으로 유리합니다. 에너지효율 1등급 가전은 초기 비용이 조금 비싸더라도 장기간 전기요금을 절약해 줍니다. 특히 에어컨, 냉장고, 세탁기는 가정 전력 소모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므로 교체 시 효율 등급을 꼭 확인하세요.
-
다른 글들
2026기준중위소득 인상 혜택
2026년 기준중위소득은 역대 최대 폭으로 인상되어 복지 수급자와 혜택 대상자가 크게 늘어날 전망입니다. 기준중위소득은 다양한 복지 제도의 문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지표이기 때문에, 이번
nora.thanksblo.com
상속세 신고기간 (2025)
상속으로 재산을 물려받는 경우, 일정 조건을 초과하면 상속세를 반드시 신고하고 납부해야 합니다. 특히 상속세 신고기간을 놓치면 가산세가 부과되므로 신고 기한을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합
nora.thanksblo.com
공익직불금 온라인 교육 방법 포털 홈페이지
공익직불금은 농업인의 안정적인 소득을 보장하고 농촌의 공익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정부가 운영하는 제도입니다. 특히 2025년부터는 공익직불금 신청 시 온라인 교육 이수가 반드시 필요하며,
nora.thanksbl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