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소세 신고 납부 기간이 돌아왔습니다. 매년 5월은 종합소득세 신고의 달인데요. 종소세 신고에 앞서 종소세 세율 및 세율 구간이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종소세 세율
종소세 세율은 과세표준에 따라 최소 6%에서 최대 45%까지 적용됩니다.
과세표준은 1,400만원 이하부터 시작하며 가장 높은 종소세 세율은 과세표준 10억 원 초과 시 적용됩니다.
올해 5월 납부하는 종소세는 2023년 소득에 대한 것입니다. 작년 1월부터 12월까지의 종합소득에 대해 세금이 매겨집니다.
여기서 세금 계산에 중요한 기준이 되는 과세표준은 세율 구간은 공제액을 제외한 금액인데요. 종소세 계산 방법은 아래에서 더 자세히 다루겠습니다.
종소세 세율 및 구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과세표준 | 종소세 세율 | 누진 공제 |
1400만 원 이하 | 6% | 없음 |
1400만원 초과 5천만 원 이하 | 15% | 126만 원 |
5천만 원 초과 8800만 원 이하 | 24% | 576만 원 |
8800만 원 초과 1억 5천만 원 이하 | 35% | 1544만 원 |
1억 5천만 원 초과 3억 원 이하 | 38% | 1994만 원 |
3억 원 초과 5억 원 이하 | 40% | 2594만 원 |
5억 원 초과 10억 원 이하 | 42% | 3594만 원 |
10억 원 초과 | 45% | 6594만 원 |
소득에 따른 과세표준 구간이 달라질수록 적게는 2%, 많게는 11%까지 세율 구간 차이가 커지기 때문에 해당 구간을 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종합소득이 3천만 원이라면 세율은 15%에 해당되는데요. 세율을 곱한 후 공제액인 126만 원을 빼면 납부할 종소세 세금을 알 수 있습니다.
2. 종소세 계산 방법
종소세 계산 방법을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세율 계산이 되었다면 어느 정도 종소세 계산이 된 것인데요.
단계별로 종소세 계산을 하는 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먼저 2023년 연간 종합소득금액에서 소득 공제 항목을 빼줍니다.
소득공제는 본인 및 배우자, 부양 가족에 대한 기본공제가 적용되며 경로우대 및 장애인 등에 대한 추가 공제가 있습니다.
이외에 연금, 보험 및 특별 소득 공제 항목이 있으며 이 공제 항목을 모두 제해야 합니다.
이렇게 종합소득 과세표준 금액이 나오면 해당 구간에 맞는 종소세 세율을 적용합니다.
여기서 나온 산출 세액에서 한번 더 세액 공제 및 감면 항목을 제외해야 합니다. 성실신고 및 중소기업 등의 경우 특별 세액 감면이 적용됩니다.
특별히 가산세가 없다면 여기서 기 납부 세액을 빼주고 납부 금액을 확인하면 됩니다.
가산세의 경우 무신고 또는 과소 신고, 납부 지연 등으로 인해 가산세가 적용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종합소득 과세표준 구간에 따라 세율이 달라지며 특히 과세표준 8800만 원을 기준으로 이하인 경우와 초과인 경우 종소세 세율이 11%나 차이가 납니다.
그렇기 때문에 나에게 해당하는 소득 공제 항목을 잘 따져보아야 합니다.
3. 종소세 신고 방법
종소세 신고는 온라인 전자 신고와 관할 세무서 방문 신고가 모두 가능합니다.
전자 신고 시 홈택스 홈페이지 또는 앱을 이용하면 됩니다.
종합소득세 신고기간인 5월 동안은 홈택스 방문 시 바로 종합소득세 신고 페이지로 이동하기 쉽도록 안내되고 있습니다. 정기 신고 메뉴에서 해당하는 소득 항목에 맞게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면 됩니다.
신고 내용 작성 시 어려운 점이 있다면 신고도움 서비스 메뉴를 활용하면 됩니다.
신고 납부까지 편리하게 하기 위해서는 홈택스에서 신고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소득이 높아 복잡하다면 세무사의 도움을 받아 신고를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인터넷 사용이 익숙하지 않다면 국세청 홈페이지에서 종소세 신고 서류 양식을 받아 출력한 후 작성, 관할 세무서를 방문하여 종소세 신고를 해도 됩니다.
불규칙한 소득이나 소득 금액이 적더라도 연말정산 대상자에 해당되지 않는다면 꼭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합니다.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지 않거나 늦게 신고할 경우 추후 가산세를 내야하기 때문에 이러한 불이익을 피하고 싶다면 5월 종소세 신고 기간에 올바르게 신고 납부하시기 바랍니다.
-
다른 정보들